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옐런 연준 부의장 상원 청문회 증언 전문(영어 원문)

기사입력 : 2013년11월14일 07:43

최종수정 : 2013년11월14일 07:46

다음은 14일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를 앞두고 자넷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부의장이 사전 배포한 증언 연설문(Testimony) 원문이다. 이 증언에서 옐런은 미국 경제가 계속 회복 중이고 주택시장 경기가 돌아섰다고 진한다면서도 경기부양 정책을 줄이기 전에 경제가 좀 더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이 증언이 소개되면서 미국 국채선물과 금 선물이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래는 증언문 전문(영어 원문)이다(굵은 글씨로 강조한 것은 뉴스핌이며, 연방준비제도가 공개한 원문에는 강조 표시가 없음).

Testimony
Vice Chair Janet L. Yellen
 
Confirmation hearing
Before the Committee on Banking, Housing, and Urban Affairs, U.S. Senate, Washington, D.C.
November 14, 2013


Chairman Johnson, Senator Crapo, and members of the Committee, thank you for this opportunity to appear before you today. It has been a privilege for me to serve the Federal Reserve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roles over the past 36 years, and an honor to be nominated by the President to lead the Fed as Chair of the Board of Governors.

I approach this task with a clear understanding that the Congress has entrusted the Federal Reserve with great responsibilities. Its decisions affect the well-being of every American and the strength and prosperity of our nation. That prosperity depends most, of course, on the productiveness and enterprise of the American people, but the Federal Reserve plays a role too, promoting conditions that foster maximum employment, low and stable inflation, and a safe and sound financial system.

The past six years have been challenging for our nation and difficult for many Americans. We endured the worst financial crisis and deepest recession since the Great Depression. The effects were severe, but they could have been far worse. Working together, government leaders confronted these challenges and successfully contained the crisis. Under the wise and skillful leadership of Chairman Bernanke, the Fed helped stabilize the financial system, arrest the steep fall in the economy, and restart growth.

Today the economy is significantly stronger and continues to improve. The private sector has created 7.8 million jobs since the post-crisis low for employment in 2010. Housing,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crisis, seems to have turned a corner--construction, home prices, and sales are up significantly. The auto industry has made an impressive comeback, with domestic production and sales back to near their pre-crisis levels.

We have made good progress, but we have farther to go to regain the ground lost in the crisis and the recession. Unemployment is down from a peak of 10 percent, but at 7.3 percent in October, it is still too high, reflecting a labor market and economy performing far short of their potential. At the same time, inflation has been running below the Federal Reserve's goal of 2 percent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do so for some time.

For these reasons, the Federal Reserve is using its monetary policy tools to promote a more robust recovery. A strong recovery will ultimately enable the Fed to reduce its monetary accommodation and reliance on unconventional policy tools such as asset purchases. I believe that supporting the recovery today is the surest path to returning to a more normal approach to monetary policy.

In the past two decades, and especially under Chairman Bernanke, the Federal Reserve has provided more and clearer information about its goals. Like the Chairman, I strongly believe that monetary policy is most effective when the public understands what the Fed is trying to do and how it plans to do it. At the request of Chairman Bernanke, I led the effort to adopt a statement of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s (FOMC) longer-run objectives, including a 2 percent goal for inflation. I believe this statement has sent a clear and powerful message about the FOMC's commitment to its goals and has helped anchor the public's expectations that inflation will remain low and stable in the future. In this and many other ways, the Federal Reserve has become a more open and transparent institution. I have strongly supported this commitment to openness and transparency, and will continue to do so if I am confirmed and serve as Chair.

The crisis revealed weaknesses in our financial system. I believe that financial institutions, the Federal Reserve, and our fellow regulators have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addressing those weaknesses. Banks are stronger today, regulatory gaps are being closed, and the financial system is more stable and more resilient. Safeguarding the United States in a global financial system requires higher standards both here and abroad, so the Federal Reserve and other regulators have worked with our counterparts around the globe to secure improved capital requirements and other reforms internationally. Today, banks hold more and higher-quality capital and liquid assets that leave them much better prepared to withstand financial turmoil. Large banks are now subject to annual "stress tests" designed to ensure that they will have enough capital to continue the vital role they play in the economy, even under highly adverse circumstances.

We have made progress in promoting a strong and stable financial system, but here, too, important work lies ahead. I am committed to using the Fed's supervisory and regulatory role to reduce the threat of another financial crisis. I believe that capital and liquidity rules and strong supervision are important tools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financial institutions that are regarded as "too big to fail." In writing new rules, however, the Fed should continue to limit the regulatory burden for community banks and smaller institutions, taking into account their distinct role and contributions. Overall, the Federal Reserve has sharpened its focus on financial stability and is taking that goal into consideration when carrying out its responsibilities for monetary policy. I support these developments and pledge, if confirmed, to continue them.

Our country has come a long way since the dark days of the financial crisis, but we have farther to go. Likewise, I believe the Federal Reserve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ward its goals but has more work to do.

Thank you for the opportunity to appear before you today. I would be happy to respond to your questions.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첫 미국출신 교황… 즉위명 '레오 14세'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미국 태생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70) 추기경이 8일(현지시간) 제267대 교황에 선출됐다.  가톨릭 역사상 미국인 교황이 탄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바티칸 교황청은 새 교황의 즉위명을 '레오 14세'라고 발표했다. 가톨릭에서 '레오'는 라틴어로 '사자'를 뜻한다. 강인함과 용기, 리더십을 상징한다. 8일(현지시간) 교황에 선출된 레오 14세. [사진=로이터 뉴스핌] 레오 14세는 선출 공식 발표 직후인 오후 7시 20분쯤 바티칸시티 성베드로 대성당 2층 '강복의 발코니'에 등장해 광장을 가득 메운 군중들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감정이 북받힌 듯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탈리아어로 말한 그의 첫 마디는 "평화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 하기를(La pace sia con tutti voi)"이었다. 그는 이어 "이 평화의 인사가 여러분의 마음속에 스며들어 여러분의 가족과 모든 사람, 어디에 있든, 모든 민족, 그리고 온 세상에 전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레오 14세는 이날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실시된 콘클라베 이틀째 투표에서 교황으로 선출됐다.  전 세계 70개국에서 모인 133명의 추기경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참석자의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는 후보를 탄생시키기 위해 투표를 계속했다.  오전에 실시된 두 차례 투표에서는 선출이 무산됐다. 오전 11시 50분쯤 시스티나 예배당 굴뚝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추기경단은 오후 4시 투표를 재개했다. 오후 두 차례 투표가 끝나고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던 오후 6시 8분쯤 굴뚝에서 흰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어 성베드로 대성당에서 장엄한 종소리가 울려 퍼졌다. 오후 7시 10분쯤 선임 부제 도미니크 맘베르티 추기경이 성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 나와 "하베무스 파팜(Habemus Papam·우리에게 교황이 있다)"을 외치며 새 교황의 탄생을 알렸다.  1955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는 1982년 사제로 서품했다. 이후 성직자로서의 경력 기간 대부분을 남미 페루에서 보냈다. 2015~2023년까지 페루 북서부 치클라요에서 주교로 재직했다. 2015년에 페루 시민권을 취득했기 때문에 이중 국적을 갖고 있다.  그는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소속이다. 이 수도회가 교황을 배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2023년 그를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교황청 주교성 장관에 앉혔다. 신임 주교 선발을 관리·감독하는 자리이다.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그의 개혁정책 추진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신학적으로는 중도 성향으로 분류된다.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갈등이 심했던 보수와 진보 세력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그가 첫번째 미국인 교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정말로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얼마나 흥분되는 일이고,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영광인가"라며 "교황 레오 14세를 만나길 고대한다. 매우 의미있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ihjang67@newspim.com   2025-05-09 04:20
사진
김문수,대선후보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8일 오전 법원에 대통령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  김 후보는 이날 KBS에 출연해 "대통령후보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을 서울남부지법에 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합법적인, 정당한 절차를 거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인 제가 있는데 지금 무소속 한덕수 후보하고 빨리 단일화를 하라고 한다"며 이유를 밝혔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05.08 yooksa@newspim.com 국민의힘 지도부는 오는 10일 또는 11일 제6차 전당대회를 소집한다고 공고했다. 당 지도부는 오는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 후보 등록이 마감되기 전 단일화를 마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서울남부지법에서는 국민의힘 책임당원이 신청한 '전당대회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 심문기일이 진행됐다. 이들은 국민의힘이 김 후보에 한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한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전당대회를 연다고 보고 있다.  김 후보는 현재 단일화 문제로 당 지도부와 갈등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가해 "무소속 등록도 안하겠다는, 입당도 안하겠다는 그런 사람을 상대로, 유령과 단일화하라는 이것은 올바른 정당민주주의냐, 저는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geulmal@newspim.com 2025-05-08 17:1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